성인병부터 암까지 예방하는 매실의 효능
본문 바로가기
  • 삶에 행복을 주는 소식
건강 라이프

성인병부터 암까지 예방하는 매실의 효능

by konan record 2020. 7. 14.
반응형

푸른보약 매실

 

매실은 새콤달콤한 맛으로 더운 여름 갈증 해소 뿐만 아니라 위액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작용을 돕는데요, 특히 불볕더위에 기운을 못 쓰거나 여름을 타는 사람들에게 좋고, 입맛이 없거나 찬 것을 마셔 배가 아프거나 설사를 할 때에 큰 도움이 됩니다.  

 

매실의 효능

첫째, 유기산이 풍부해 변비 예방 소화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습니다.

둘째, 구연산 성분을 함유해 젖산 분해 및 신체 에너지 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피로회복에 도움을 줍니다..

셋째, 피크린산 성분이 독성물질을 분해하며 식중독 예방 을 돕고, 폴리페놀 성분이 많아 암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넷째, 무기질, 비타민, 칼슘이 풍부해 칼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나 생리불순 등의 증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 매실은 알칼리 성분이라 산성화된 혈액 때문에 발병 가능성이 높아지는 비만, 당뇨, 고지혈증 등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좋은 매실 고르는 법

첫째, 무조건 알이 크다고 좋은 것이 아니므로, 색이 선명하며 알이 고르고 단단한 매실을 고릅니다. 

둘째, 껍질에 흠이 없고 벌레 먹지 않은 것을 고르며, 너무 덜 익은 것을 구입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매실 독성 논란

매실씨에 함유된 '레트릴'이라고도 불리는 아미그달린(amygdalin) 성분이 분해과정에서 무색의 휘발성 액체로 특유한 냄새를 지닌 시안화 수소를 만들어내는 데, 시안화수소는 장기간 복용하면 중추신경마비와 같은 증상을 불러 올 수 있지만, 전문가들은 설익은 매실 씨앗에 아미그달린이라는 독이 들어 있어 씨앗을 빼면 아무 문제가 없고, 부득이 씨앗을 넣어 매실청을 담가도 1년 정도 발효하면 독이 사라진다고 합니다

 

매실 손질법

첫째, 흐르는 물에 여러 번 깨끗이 씻습니다.

둘째, 베이킹소다와 식초에 담가두었다가 다시 한번 씻습니다.

셋째, 뾰족한 도구로 매실 꼭지를 제거합니다.(제거하지 않으면 쓴 맛이 나요)

 

매실 요리법

청매실은 맛이 시기도 하지만 독성 때문에 생으로 잘 먹지 않고 매실청이나 장아찌, 주스, 차, 잼 등으로 활용합니다.  

 1. 매실청

    매실과 동량의 설탕을 재워 숙성시킨 매실청은 식후 더부룩한 속을 차분하게 가라앉히는 역할을 합니다.

   ① 매실은 베이킹소다 물에 10분 정도 담가 소독해 주세요

   ② 깨끗이 씻은 매실은 꼭 자연건조 시켜 주세요

   ③ 매실의 꼭지 부분은 이쑤시개로 제거해 주세요.

   ④ 매실을 담을 유리 용기는 뜨거운 김을 쬐어 열탕 소독해 주세요

   ⑤ 유리 용기에 매실과 설탕을 1:1 비율로 매실→설탕→매실→설탕 순으로 가득 넣어주세요

   ⑥ 매실청의 위쪽이 농도가 낮아서 매실이 물러질 수 있으니 중간중간 설탕들을 잘 녹여주세요

   ⑦ 밀봉한 후 100일이 지나면 드실 수 있습니다.

 

 

 2. 매실주

    매실주를 담글 때는 상처가 없고 상하지 않은 매실을 골라서 낮은 도수의 술을 담그고, 햇빛이 없는 서늘한 곳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① 매실은 베이킹소다 물에 10분 정도 담가 소독해 주세요

   ② 깨끗이 씻은 매실은 꼭 자연건조 시켜 주세요

   ③ 매실의 꼭지 부분은 이쑤시개로 제거해 주세요.

   ④ 매실을 담을 유리 용기는 뜨거운 김을 쬐어 열탕 소독해 주세요

   ⑤ 유리 용기에 매실과 설탕을 1:1 비율로 가득 넣어주세요

   ⑥ 담금주를 넣어주세요

   ⑦ 밀봉한 후 100일이 지나면 드실 수 있습니다.

     매실주를 담그실때는 알콜도수가 낮은 술이 좋다고 합니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매실에는 아미그달린이라는 독성 성분이 있는데, 알콜 농도가 낮을수록 아미그달린 농도가 작게 나오기 때문에 담금주의 알콜농도를 낮게 선택해야 한다고합니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담금주의 알콜농도는 19.5~35도로 다양한데 매실주를 담글때는 19.5도의 술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권고했습니다. 그러나 숙성 1년 후에는 알콜 도수와 상관없이 독성 성분이 모두 분해되기 때문에 안심하고 드셔도 된다고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