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새해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직장인들에게는 매년 내가 받을 수 있는 연봉이 얼마나 될 지 가장 궁금한 것이 사실이죠. 2021년도 연봉 실수령액은 어떻게 바뀌는지 한 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연봉실수령액표는 직장인들의 연봉 기준 잣대입니다. 모든 근로자는 원래 회사가 지급하기로 한 금액에서 근로소득세와 4대보험료를 원천징수하여 공제한 금액을 실수령액으로 지급 받습니다.
국가가 모든 세금의 징수와 납부를 관리할 수는 없기에 회사가 소득세와 보험료를 거둔 금액을 근로자에게 지급하고 한 번에 국가에 세금 신고를 하게 되어 있습니다.
우선 연봉 실수령액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2021년도 최저 시급을 알아야 겠죠? 2021년 최저임금은 시급 8720원으로 월 근로시간 209시간을 적용하면, 월 환산급은 182만 2480원이 됩니다.
▶ 2021년도 연봉실수령액표
2021년도의 연봉실수령액입니다. 비과세 급여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계산이며, 부양가족 1인(본인)으로 설정한 계산으로 실제로는 개인별로부양가족수나 비과세 항목이 다르므로 개인별 차이를 적용한 연봉계산은 인터넷상에 무료로 계산할 수 있는 연봉계산기를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출처 : 잡코리아>
▶ 4대 보험료율
정확한 연봉 계산을 위해서 필요한 4대 보험료율을 알아보겠습니다.
근로가자 납입하는 4대보험에는 국민연금, 고용보험,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이 포함되고 월급여액을 기준으로 각각의 정해진 4대보험요율에 따라서 납부하게 됩니다.
4대보험료의 경우 매년 한 두 항목 정도 상향 조정되기 때문에 잘 알아두면 전년 실수령액과 차이를 더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연봉 계획 잘 세우셔서 2021년 한해 성공하는 금융 생활 되시기 바랍니다.
'공감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달라지는 현금영수증 제도 (0) | 2020.12.16 |
---|---|
경기도 4차 청년면접수당 받는 방법 (0) | 2020.12.15 |
연말정산 제로페이 지역화폐 (0) | 2020.12.14 |
착한임대인 소상공인 정책자금 신청방법 (0) | 2020.12.10 |
코로나 생활지원자금 신청방법 (0) | 2020.12.07 |
댓글